헤드라인21이 리서치제이에 의뢰해 11월 17~18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정부의 대장동 비리 사건 항소 포기에 대한 국민 인식은 부정적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 중 52.7%가 항소 포기를 부적절하다고 답했고, 적절하다는 응답은 35.1%였다. 12.2%는 판단을 유보했다.
대장동 사건은 여러 정·관계 인사와 연루 의혹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사안인 만큼, 항소 포기 결정이 가져온 법적·정치적 파장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읽힌다.
세대별로는 18~29세(55.7%)와 30대(60.4%)에서도 부적절 응답이 절반을 넘기는 등 전반적으로 부정적 여론이 넓게 형성돼 있었다.
반면 ‘적절했다’는 응답은 전체적으로 30% 초중반대에 머물렀고 대부분의 연령·지역에서 우세하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20대 55.7%, 30대 60.4%, 60대 52.4%, 70세 이상 54.3%가 부적절하다고 답해 대부분 세대에서 비판 응답이 우세했다. 특히 영남권(63.3%), 수도권(서울 52.6%, 경기·인천 56.1%) 등 주요 권역에서도 부정적 평가가 높아 지역별 차이 역시 크지 않았다. 반면 호남권은 부적절 38.5%, 적절 38.6%로 보합세에 가까웠다.
이번 응답 경향은 단순한 사건 평가를 넘어, 국민이 이번 결정을 둘러싼 의도·맥락에 대해 여전히 납득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사건 관련 재판이 여전히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항소 포기라는 선택이 어떤 기준으로 내려졌는지에 대한 의문이 계속 제기되는 가운데, 이 판단이 결과적으로 책임 회피나 절차적 무게 부족으로 비춰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조사는 헤드라인21이 리서치제이에 의뢰해 2025년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며, 응답률은 2.9%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