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21(HEADLINE21) 캐나다 |
캐나다 우체국(Canada Post) 파업이 장기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택배·우편 지연이 잇따르면서 시민 불편이 커지고, 파업의 원인과 책임을 둘러싼 논란도 심화되는 분위기다. 단순한 임금 분쟁이 아니라 구조개편과 노동 환경 변화가 얽힌 복합적 갈등이라는 점에서 더욱 복잡하다.
Canada Post는 최근 몇 년간 심각한 적자에 시달려 왔다. 우편량 감소, 인건비 증가, 민간 배송업체와의 경쟁 심화 등으로 구조조정 압박이 커졌고, 정부 역시 효율화를 명목으로 자동화 확대와 인력 축소를 요구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현장 노동자들에겐 곧바로 ‘고용 불안’으로 이어졌다. 인력축소 이후 남은 직원들은 배송 구역 확대, 만성적인 인력 부족, 높아진 업무 강도 등으로 실질적인 근무 조건 악화가 누적되면서 장기적인 생계와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다.
노동조합(CUPW)은 이번 파업을 단순한 임금 투쟁이 아닌 “미래의 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싸움”이라고 규정한다. 구조조정이 계속되면 일자리 축소가 현실화될 수 있고, 자동화 정책이 결국 현장 인력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배경 속에서 노조는 전면파업을 선언하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전면파업은 시민들의 불만을 크게 자극했다. 갑작스러운 배송 중단으로 택배 지연, 처방약·중요 서류 배송 차질 등 직접적 피해가 발생하자, “배송료를 지불했는데, 이미 접수된 배송만이라도 끝내고 파업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소상공인은 매출 손실을, 농촌 지역 주민들은 필수품 접근성 문제를 호소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노조는 뒤늦게 파업 방식을 순환파업으로 전환한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와 시민들의 갈등 또한 불가피하게 드러났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노사 갈등을 넘어, 캐나다 공공서비스의 미래 구조를 둘러싼 문제를 드러낸다. 우체국의 재정 난관, 자동화 흐름, 공공서비스의 역할, 그리고 노동권과 시민 편의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잡아야 할지 등 여러 질문이 얽혀 있다. 정부, Canada Post, 노동조합 모두가 근본적 해결책을 내놓지 못한다면, 이번 파업은 일시적 사건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시민들의 피해가 계속되는 가운데, 캐나다 우체국은 앞으로 어디로 향할까. 지금 필요한 것은 책임 공방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해답이다.
HEADLINE21 Canada Bureau | 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