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20일부터 21일까지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대비해 ‘종합 대책 상황실’을 가동하고 대응 매뉴얼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는 등 전면적인 비상 대응에 나섰다.
도교육청은 부교육감을 총괄 본부장으로 하는 상황실을 설치해 상황반과 대응반을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직종별 근무 여건을 고려한 파업 대응 매뉴얼도 마련해 단계별 조치, 직종별 현장 대응, 부당노동행위 예방을 위한 노동관계법 준수 원칙 등을 포함해 각 학교에 안내했다.
파업으로 인한 학생·학부모 불편을 줄이기 위한 대책도 분야별로 준비했다. 급식 중단이 우려되는 학교는 지역 여건에 따라 빵·우유 제공 등 대체급식을 실시하거나 도시락 지참을 허용하고, 늘봄 운영은 내부 인력을 활용해 프로그램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유치원 방과후 과정은 파업 미참여 인력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며, 특수교육의 경우 치료지원 시간에 학급 수업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공백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김용묵 교육청 정책국장은 “임금 교섭이 원만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성실하게 협의에 임하고 있다”며 “총파업 기간 학생과 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마련하고 현장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