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제이에 헤드라인21이 의뢰해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른바 반중시위 처벌법 제정에 대해 반대한다는 응답이 50.6%로 나타나 찬성한다는 응답 38.5%를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9%였다. 전체적으로 반대 의견이 더 높게 형성된 가운데, 세대와 지역 전반에서 중국 관련 이슈에 대한 거부감이 폭넓게 드러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특정 지역이나 고령층에만 국한된 의견이 아니라, 수도권·영남권·강원권 등 대부분의 권역에서 반대 응답이 찬성을 상회했고, 특히 20대와 30대에서도 반대가 각각 57.2%, 56.1%로 집계되며 또렷한 흐름을 보였다.
이는 중국 관련 정책이나 사회적 갈등 이슈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이 보다 엄격해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신호로도 읽힌다. 또한 시민의 기본적 표현 자유와 집회·시위 권리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게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특정 국가 관련 이슈가 국내 정치적 판단 기준으로 확대되는 데 대한 부담감도 일정 부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강원·제주 등 대부분 지역에서 반대가 우세했으며, 대구·경북 역시 반대 응답이 63.3%로 높게 나타났다. 광주·전남·전북에서 찬성 52.4%, 반대 33.6%로 다른 지역과는 다소 다른 흐름을 보이긴 했으나, 전반적으로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반대 의견이 고르게 분포됐다.
세대별로도 18~29세(57.2%), 30대(56.1%), 50대(49.8%), 60대(46.4%) 등 다수 연령대에서 반대 응답이 찬성보다 높았고, 40대에서도 찬성 41.7%, 반대 46.2%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 전반에 걸쳐 반중 감정이 지속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외교·안보 현안이 국내 여론 형성에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정치적 스펙트럼에 따라 차이가 더 뚜렷했다.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층에서는 찬성이 63.8%였지만, 부정 평가층에서는 반대가 85.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는 외교·안보 관련 사안이 정권에 대한 신뢰 여부와 깊게 연동돼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다.
이번 조사는 헤드라인21이 리서치제이에 의뢰해 11월 17일부터 1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무선 RDD 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